X: 1990년대 한국미술 Korean Art in the 90's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350508251648412&set=pcb.1350509474981623&type=3&theater
https://sema.seoul.go.kr/korean/exhibition/exhibitionView.jsp?seq=514

이불 고낙범 이형주 강홍구 샌정(정승)이상 뮤지엄 서브클럽 

진달래 김미경 염주경 하민수/이상 30캐럿 금누리 안상수 김성배 오경화 윤동천 이상현 박혜성 이동기 이윰 이재용 공성훈 문주 안수진 홍성도 박불똥 조경숙 정기용 Sasa[44] 김영은 김익현 최윤


SeMA 서울시립미술관은 90년대 한국미술을 재조명하는 기획전 <>을 마련했다. SeMA ‘골드’는 한국 미술 작가를 세대별로 조망하는 SeMA 삼색전―원로 작가를 위한 ‘그린,’ 중견 작가를 위한 ‘골드,’ 청년 작가를 위한 ‘블루’―의 일환으로 개최되는 격년제 기획 전시이다. 이미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정립하고 한국 미술계를 이끌어가고 있는 중간 허리 작가들을 보여주는 SeMA 골드의 올해 전시는 한국 미술계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한 1990년대를 화두로 삼아 동시대 한국 미술의 미학적, 문화사적 의미를 성찰하고자 한다. 

1990년대는 이미 최근 TV드라마 ‘응답하라’ 시리즈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새로운 문화적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다. 이 전시가 다루는 90년대는 1987년부터 1996년에 이르는 10년간이다. 87민주화항쟁과 88서울올림픽, 동구권의 몰락, 김영삼 정부 출범과 김일성 사망, 삼풍백화점과 성수대교 붕괴 등의 사건들로 얼룩진 과잉과 상실, 그리고 붕괴와 도약의 시기였다. 본 전시는 1990년대를 현대미술의 이름으로 촉발시키면서 포스트모더니즘, 글로벌리즘으로 일컬어지는 동시대 미술 패러다임의 변화에 주목하고 그것이 오늘날 미술에 끼친 영향 및 그 역학 관계를 살펴본다. 

1990년대의 이정표적 징후들, 즉 70년대 모더니즘이나 80년대 민중미술과 차별화되는 90년대 특유의 시대정신은 이 시대를 대변하는 X세대 또는 신세대 작가들의 탈이데올로기적 창작 활동을 통해 드러난다. 설치미술, 테크놀로지, 대중매체, 하위문화 등 당시의 다양한 문화적 코드들을 저항적이고 실험적인 미술 언어로 재무장한 이들의 활동은 독특한 개성을 자랑하는 소그룹 운동과 주요 개별 작가들의 활동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이는 1990년대의 ‘앙팡테리블’로 한국 미술계의 지형을 바꾸어놓은 X세대 주역들의 미술사적 업적을 재조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은 당시 작업을 재제작하거나 다양한 아카이브를 한데 모아 전시를 구성한다. 이러한 회고적 성격의 전시는 자칫하면 단순한 역사적 기록이나 감상적 노스탤지어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에서 이번 전시 큐레이션은 90년대 미술을 시대 특정적, 장소 특정적인 프레임 속에서 재맥락화하고 그것의 현재적 연속성을 가시화시키는 것에 주력하고자 한다.
https://sema.seoul.go.kr/korean/exhibition/exhibitionView.jsp?seq=514

댓글 없음:

댓글 쓰기